저작권 관리하기 특허 침해 검토 런칭된 앱의 특허 침해를 제품별, 버전별로 관리할 수 있다. 저작권 소설이나 시, 음악, 미술 작품 등과 같은 저작물을 창작한 사람이 자신의 창작물을 복제, 공연, 전시, 방송 또는 전송하는 등 법이 정하고 있는 일정한 방식으로 스스로 이용하거나 다른 사람들이 그러한 방식으로 이용하는 것을 허락할 수 있는 권리 저작물이 되기 위한 구성 요소 저작물은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것이어야 한다. 저작물은 창작적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저작물은 표현되어야 한다. 보호받지 못하는 저작물 헌법, 법률, 조약, 명령, 조례 및 규칙 국가 또는 지방 공공 단체의 고시 공고 법원의 판결, 결정, 명령, 의결 등 사실의 전달에 불과한 시사 보도 공개한 법정, 국회 또는 지방 의회에서의 연설 ..
고객 관리하기 고객 정보 분석 및 마케팅 자료 활용 분석된 고객 정보를 마케팅 자료로 활용 할 수 있다. 고객 가치 측정 기법 고객 생애 가치(CLV: Customer Lifetime Value) 고객들로부터 미래의 일정 기간 동안 얻게 될 이익(=수입-비용)을 할인율에 의거해 현재 가치로 환산한 재무적 가치 할인율(discount rate) 미래에 발생하게 될 고객 가치를 현재 가치로 환산하기 위해 필요한 비율 할인율은 고객 생애 가치를 평가할 때 모든 고객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되는 일종의 상수(constant)로써, 기업이 자체적으로 결정함. 마케팅 비용 CRM 전략 차원의 마케팅 비용 산정이란 기업의 마케팅 활동을 신규 고객 확보, 관계 유지, 그리고 관계 강화라는 CRM 활동으로 분류하고, 각 활..
유지 보수하기 유지 보수에 대한 기획 및 업무 지원 시스템 마케팅 성과에 따른 앱 운영 및 유지 보수에 대한 계획, 지침, 절차서를 작성하고 변경 사항을 통제하고 관리할 수 있다. 정보 시스템 운영 관리를 위한 지침은 개요서를 포함하여 총 12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정보 시스템 운영 관리 지침 개요서’와 ‘정보 시스템 운영 관리 지침’은 전체 지침을 포괄하는 상위 수준의 지침이며, 나머지 ‘정보 시스템 구성 및 변경 관리 지침’ 등 10종의 지침은 ‘정보 시스템 운영 관리 지침’에서 정의한 10대 관리 요소에 대한 내역 및 절차에 대해 기술한 세부 지침으로 볼 수 있다. 지침의 주요 내용 정보 시스템 운영 관리 지침 개요서 : 정보 시스템 운영 관리를 위한 지침의 구성 및 활용 방법에 대해 소..
기획 콘셉트 정하기 기본 콘센트 설정 스토리텔링을 하기 위해 콘텐츠 개발에 필요한 콘셉트를 정할 수 있다. 기본 콘셉트 설정 프로젝트 기획을 기반으로 콘셉트의 범위를 정하고, 디자인 기본 형태 설정 과정을 통해 시각화를 진행한 후 최종 기본 콘셉트를 정한다. 가능하다면 해당 분야 전문가의 자문을 구하는 것이 좋으며, 여의치 않을 경우 평소 스마트문화콘텐츠를 자주 이용하는 일반 사용자의 의견을 청취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기본 콘셉트 설정에는 기본적으로 다음 내용들이 포함되도록 한다. 제시된 기본 요소 외에도 제작하고자 하는 스마트문화콘텐츠의 콘셉트에 따라 다양한 요소를 적극적으로 구체화하고 확장해야 한다. 콘셉트는 자세하고 명확할수록 좋으며, 이는 보다 우수한 결과물을 완성할 수 있는 밑바탕이 된다.
기획 콘셉트 정하기 디자인 기본 형태 설정 문화콘텐츠 콘셉트에 필요한 디자인 기본 형태를 정할 수 있다. 디자인 기본 형태의 이해 프로젝트 기획서를 바탕으로 콘셉트를 구체화하고 확장하는 단계를 거치면서 병행되어야 하는 것이 ‘시각화’이다. 스마트문화콘텐츠는 대부분 스마트 기기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시각적인 결과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콘셉트가 요구하는 내용과 방향에 맞는 시각적 요소들이 반드시 개발되어야 한다. 애니메이션 ‘뽀롱뽀롱 뽀로로’의 사례를 살펴보자. ‘뽀롱뽀롱 뽀로로’의 제작사 오콘의 김일호 대표의 인터뷰에 따르면 평범한 옆집 아이 같은 꼬마 펭귄으로 캐릭터 콘셉트를 정한 후 7~8명의 디자이너들과 함께 천 장 이상의 캐릭터 디자인 스케치를 했고, 그러는 중에 비행사가 되고 싶어 하는 펭귄이 ..
기획 콘셉트 정하기 콘셉트 범위 설정 프로젝트 기획서를 바탕으로 콘셉트의 범위를 정할 수 있다. 콘셉트의 이해 ‘콘셉트’는 문화 산업분야 전반에서 널리 쓰이는 용어로,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정의한 의미 외에도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는 콘셉트의 다양한 의미를 살펴보자. 프로젝트 기획서 분석 제작하고자 하는 스마트문화콘텐츠의 기본적인 콘셉트는 프로젝트를 기획하면서 알게 모르게 자연스럽게 만들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콘셉트를 정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앞서 작성한 프로젝트 기획서를 검토하고 프로젝트 기획서 안에 이미 녹아 들어 있는 콘셉트를 발견하는 것이다. 그리고 발견한 콘셉트를 구체적으로 정리하여 확장 및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하나의 프로젝트 기획에서 다양한 형태의 결..
문화콘텐츠 선정하기 스마트문화콘텐츠 아이디어 도출 스마트문화콘텐츠 아이디어를 다양하게 구상하고 정리할 수 있다. 아이디어 발상 과정 아무것도 모르는 백지 상태에서 갑자기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르는 경우는 없다. 아이디어는 자신이 가진 지식과 경험의 범위 내에서만 떠오른다. 그렇기 때문에 더 좋은 아이디어를 생각해 내기위해 더 많은 지식과 경험을 쌓는 것이 첫 번째 필요조건이며, 지식과 경험의 총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혼자 아이디어를 고민하는 것보다 여러 사람이 함께 지식과 경험을 나누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지식과 경험이 있다고 해서 곧바로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르지는 않는다. 가지고 있는 지식과 경험을 자극하고 혼합해 아이디어로 구체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방법은 개인마다 다르다. 계속..